본문 바로가기

올림픽 더 재미있게 보기 #6 센강에서 수영해도 될까요? 한강에서는?

im영서 2024. 8. 2.
반응형

결승선 통과하고 구토를?

파리올림픽 개회식, 비가오는걸 보며 센강 더러워질텐데 괜찮을까? 싶었다.

아니나다를까 남자부 트라이에슬론의 일정이 연기됐지만, 강행했고

그 결과 결승선을 통과한 선수들은 일제히 구토를 했다.

구토하는 선수들

 

1923년부터 수영이 금지되어 있던 센강

센강의 수질문제는 꽤나 오래전부터 문제였는데 산업폐수와 생활오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인해 1923년 수영이 금지됐는데, 사실 이는 센강의 구조적인 문제로 깨끗한(?) 한강을 보는 대한민국 시민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참고로 센강의 수질은 6~7급, 대장균은 한강의 100배를 자랑한다.)

이는 합류식 하수시설의 고질적인 문제인데, 비가오거나, 하수처리시설의 용량이 초과되는 경우 센강으로 다이렉트로 흘러들어오기 때문이다. 

이에 프랑스는 올림픽 이전부터 오폐수 처리장 건설등의 노력을 하였으나 개선하지는 못했으나, 올림픽 개최가 확정된 2017년 올림픽 경기중 일부를 센강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해 대대적인 수질개선 작업을 벌였다. 

더보기

뭘 안한건 아니다.. 안됐을 뿐

파리 메트로폴리탄 폐수 처리 프로젝트 (SIAAP 프로젝트):

  • 예산: 약 15억 유로
  • 내용: Seine-Aval 폐수 처리장을 현대화하고 확장하여 처리 용량을 늘리고 오염물질 제거 기술을 도입.
  • 완료 시기: 2017년
  • 결과: 처리 용량이 늘어나고 질소와 인 제거가 강화되어 센강으로 방류되는 물의 수질이 대폭 개선됨.

센강 수질 개선을 위한 파리시의 종합 계획

  • 예산: 약 11억 유로
  • 내용: 하수도 시스템 개선, 빗물 관리 시스템 구축, 오염물질 모니터링 강화, 도심 녹지 조성.
  • 완료 시기: 2024년 예정
  • 결과: (예상) 센강 수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도심 환경이 녹지화되어 자연 정화 능력 증가.

빗물 및 하수 처리 통합 관리 시스템 (Eaudysseus 프로젝트)

  • 예산: 약 3억 유로
  • 내용: 빗물 저장 및 처리 시설 확충, 하수도 관로 보강,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완료 시기: 2015년
  • 결과: 폭우 시 발생하는 하수도 과부하 문제 해결, 오염된 물의 센강 유입 방지.

센강 주변의 자연 정화 및 생태계 복원 프로젝트

  • 예산: 약 2억 유로
  • 내용: 자연 습지대 조성, 생태계 복원, 침식 방지 및 오염물질 자연 분해 촉진.
  • 완료 시기: 2020년
  • 결과: 생물 다양성 회복, 강의 생태 건강성 증가, 자연적인 오염물질 정화 과정 촉진.

올림픽 직전까지도 문제, 운이 좋나 했더니..

사실 비만 안오면 됐다. 

유럽연합(EU)의 2006년 수질 지침에 따르면 대장균은 100mL당 최대 900CFU(미생물 집락형성단위, Colony-forming unit), 장구균은 100mL당 330CFU 이하로 검출돼야 수영이 가능하다.

세계수영연맹의 수질 기준상 대장균의 최대 허용치는 100mL당 1000FU, 장구균은 400CFU이었으나 .

지난달까지도 비가 자주 내린 탓에 오·폐수가 흘러들어와 센강에서 기준치 이상의 대장균과 장구균이 검출됐는데, 선수들에게 위장염, 결막염, 외이염, 피부 질환 등에 노출될 위험이 있어 절대 금하고 있다.

파리시에서는 센강의 수질 개선을 홍보하기 위해 6월 23일 센강에 입수하려 했으나, 직전에 내린 폭우로 유속이 빠르다는 이유로 날짜를 연기했다.

참고로 이날 X에는 “6월 23일 센강에서 똥을 싼다”라는 의미의 'JeChieDansLaSeineLe23Juin'라는 해시태그를 단 캠페인이 열리기도 했다.

6월 23일 X에 올라온 한장의 사진과, 7월 17일 센강에 뛰어든 파리 시장

 

그리고 비가온 개막식이후 대회를 진행했으나, 선수들의 구토로 마무리가 됐다.

 

우리나라는 어떻지?

우선 한강을 기준으로 말하자면 한강은 분류식과 합류식 두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또 한강에서는 수영이 가능한데 대장균은 3158MPN으로 센강의 1/100 수준이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직접 수영하긴 했다. 

 

반복해서 나오는 합류식과 분류식은 하수처리 방식의 구분인데 한번 알아보자.

합류식? 분류식?

두 방식에대해 간략히 설명해볼까 한다.

합류식 하수도

  •  빗물과 생활하수를 한꺼번에 같은 배수관으로 모아 처리하는 방식
  •  설치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한 번에 모든 하루수를 처리할 수 있다.
  •  그러나  폭우 시 하수도 과부하로 인해 정화되지 않은 하수가 강이나 바다로 직접 유입되거나, 오염물질이 빗물과 함께 처리되어 하수 처리 효율이 낮을 수 있다.

분류식 하수도

  • 빗물과 생활하수를 별도의 배수관으로 모아 각각 처리하는 방식
  • 폭우 시에도 생활하수가 정화되지 않고 유익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이 빗물과 섞이지 않아서 하수처리 효율이 높다.
  • 그러나 설치비용이 높고, 기존 하수도를 전면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자원이 필요하다.

 

분류식으로 다하면 되는거 아니야?

분류식 하수도가 장점이 많아보이지만, 지형 및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공사실현 가능성과 경제성을 점검하여 처리 방식을 결정해야 하는데, 기존 합류식 하수도를 존치하는것이 분류식으로 대체하는것보다 효율적인 경우, 합류식 지역에 대한 강우시 하수처리 대책을 마련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형

댓글